1억6000만 인구 대국 방글라데시, 의료기기 시장에 주목하라
- 높은 수입 의존도와 빠른 수입 증가세 보여 -
- 정부, 국제기구 등을 통한 다방면의 장기적 진출 노력 필요 -
□ 방글라데시 의료기기 수입, 두 자리 증가세 지속
○ 방글라데시 의료기기 제조업체와 도매상협회의 칸 회장(Amir Hossain Khan, President of Bangladesh Medical & Hospital Equipment Manufacturers & Dealers Association)에 따르면 질병 진단, 외과수술, 수술 후 치료, 중환자실 입원 등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의료기기와 외과기구의 수입도 해마다 빠르게 증가함.
○ 한편, 방글라데시 국세청(National Board of Revenue, NBR)은 2011. 7.~2012. 5.(11개월)간 의료기기와 외과기구 수입은 103억 다카(약 1억2600만 달러)로, 이 중 정부 수입이 88억 다카, 민간 수입이 15억 다카라고 밝힘.
□ 수입 의존도 95%, 자체 생산은 저기술 제품에 그쳐
○ 현재 방글라데시 의료기기·외과기구시장의 95%는 수입에 의존하며 자체 생산 비중은 5%에 불과함.
○ 국내 생산 부진과 관련, 보건복지부장관 Ruhal Haque는 지난 5월 5일에 개최된 제4회 'Meditex Bangladesh 2012' 전시회 개막식에서 국내외 투자가들이 의료기기 생산부문에 투자할 것을 촉구했음.
○ 수입제품의 주 수요처는 정부(국립병원, 군인병원, 군용앰뷸런스 등)와 외국에서 수련을 마치고 돌아온 의사들인데, 일각에서는 수입업체와 정부가 방글라데시 상황에 적합하지 않은 제품을 수입한다는 지적이 있음.
□ 한국 제품 진출은 초기단계
○ 한국의 대방글라데시 의료기기 수출은 2011년 429만 달러로 2010년 320만 달러 대비 34% 증가했으나 그 규모면에서 의약품 수출(3189만 달러)에 크게 못미침.
한국의 대방글라데시 의약품과 의료기기 수출 현황
(단위: 천 달러, %)
| 품목명(MTI코드) | 2010 | 2011 | ||||
| 금액 | 증가율 | 금액 | 증가율 | |||
| 의약품(2262) | 30,661 | -18.7 | 31,892 | 4.0 | ||
| 의료 기기 | 의료용 전자기기(8147) | 2,097 | 33.2 | 2,903 | 38.4 | |
| 의료용기기(7331) | 1,043 | -3.4 | 1,316 | 26.1 | ||
| 기타 의료위생용품(9509) | 49 | 251.5 | 63 | 29.2 | ||
| 의료용 기기부품(7332) | 8 | -76.2 | 5 | -32.0 | ||
| 의료기기소계 | 3,197 | 
 | 4,287 | 
 | ||
자료: 한국무역협회
○ 의료기기 등에 대한 수입관세는 5%가 일반적이며 일부 제품에 대해서는 12%까지 적용
○ 수입관행을 보면 관세 부담 경감을 위해 광범위한 언더밸류가 이뤄지는데, 약 70%의 수입업체가 25~30%의 언더밸류를 하는 것으로 알려짐.
'방글라데시 뉴스모음 > 코트라 경재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방글라데시 대형 바이어와 만나다: HNS Auto사 (1) | 2012.09.10 | 
|---|---|
| 방글라데시 시장에서 잘 나가는 브랜드들 (0) | 2012.08.31 | 
| 머나먼 다리, 파드마 대교 (0) | 2012.08.23 | 
| 방글라데시, 휴대폰 부품 생산에 나서나? (0) | 2012.07.17 | 
| 2011년 방글라데시, 외국인직접투자 유치 11억 달러 돌파 (0) | 2012.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