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방글라데시 수입시장 전망
2013년 방글라데시 수입시장 전망과 우리의 수출유망품목
- 최근 수입 감소세이나, 회복 조짐 보여 -
- 수입여건 좋지 않지만, 인지도와 품질이 우수한 한국 제품 수출은 10% 증가 예상 -
□ 최근 방글라데시 수입시장 동향
○ 수입 감소세 지속
○ 수입시장의 부진을 가져온 요인
○ 2013 회계연도 수입 전망: 전반적 수입 여건 좋지 않으나 회복 조짐
최근 수년간 방글라데시의 수입 추이와 전망
연 도 |
FY 09 |
FY 10 |
FY 11 |
FY 12 |
FY 13 (전망) |
수입액(백만 달러) |
22,507 |
23,738 |
33,658 |
35,516 |
34,806 |
증감률(%) |
4.1 |
5.5 |
41.8 |
5.5 |
-2.0 |
자료원 : 방글라데시 중앙은행(Bangladesh Bank), 전망치는 코트라 다카 무역관 예측임.
□ 품목별·국별 수입구조
○ 연간(FY 11 및 FY 12년) 기준 방글라데시의 품목별 수입구조
품목별 수입 현황
(단위 : US$ 백만, %)
품 목 |
FY 2010/11 |
FY 2011/12 |
증감률 |
1. 곡물(쌀, 밀) |
1,911 |
901 |
-52.9 |
2. 밀크 및 크림 |
161 |
221 |
37.3 |
3. 향신료 |
127 |
138 |
8.7 |
4. 종유(oilseeds) |
103 |
177 |
71.8 |
5. 식용유 |
1,067 |
1,644 |
54.1 |
6. 콩류 |
292 |
243 |
-16.8 |
7. 설탕 |
654 |
1,177 |
80.0 |
8. 클링커 |
446 |
504 |
13.0 |
9. 원유 |
923 |
987 |
6.9 |
10. 정유제품 |
3,186 |
3,922 |
23.1 |
11. 화학제품 |
1,254 |
1,210 |
-3.5 |
12. 의약품 |
116 |
119 |
2.6 |
13. 비료 |
1,241 |
1,381 |
11.3 |
14. 염색 및 제혁 |
333 |
375 |
12.6 |
15. 플라스틱 및 고무제품 |
1,302 |
1,366 |
4.9 |
16. 면화 |
2,689 |
2,084 |
-22.5 |
17. 사(yarn) |
1,391 |
1,384 |
-0.5 |
18. 섬유 및 섬유제품 |
2,680 |
3,023 |
12.8 |
19. 스테이플 파이버(staple fibre) |
180 |
428 |
137.8 |
20. 철강 및 기타 비금속 |
2,004 |
2,224 |
11.0 |
21. 기계장비(Capitalmachinery) |
2,325 |
2,005 |
-13.8 |
22. 기타 제품 |
7,132 |
7,889 |
10.6 |
소 계 |
31,517 |
33,402 |
6.0 |
수출가공공단(EPZ) 수입 |
2,141 |
2,114 |
-1.3 |
총 수 입 |
33,658 |
35,516 |
5.5 |
자료원 : 방글라데시 중앙은행(Bangladesh Bank)
○ 방글라데시의 국별 수입 상황 FY 12년 기준, 중국이 최대 수입대상국(점유율 20.5%)이며, 인도, 한국, 싱가포르, 일본, 말레이시아 등이 뒤를 이었음.
- FY 11년 한국은 7위 수입대상국이었으나 FY 12년에는 3위로 약진: 수입시장 점유율 3.7% → 4.9%
자료원 : 방글라데시 중앙은행
□ 한국의 對방글라데시 수출 전망
우리의 대방글라데시 수출, 기회와 위협
기 회 |
위 협 |
- 6% 가까운 비교적 높은 성장 유지 - 한국산의 성가와 인지도 상승 - 저품질 중국산에 대한 불만 축적 - 한국 업계의 현지 관심과 진출 확대 - 현지 당국의 수입제한 완화와 경기 진작 - 해외 원조(aid) 확대 추세 |
- 현지 경제성장률 둔화 - 파드마 대교 등 대형 인프라 사업 차질 - 정치 불안정 및 대규모 소요 발생 가능성 - 투자 부진으로 자본재 수입수요 감소 - 은행권 부정 스캔들 여파로 신용 제공 기피 - 중국, 인도 등 경쟁국 진출: 경제원조 활용 |
○ 2013년 대 방글라데시 수출은 약 10% 신장 전망
최근 수년간 한국의 對방글라데시 수출 현황
연 도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수출액(백만 달러) |
611.5 |
1,095.0 |
1,063.8 |
1,554.3 |
1,627.6 |
1,459.2 |
증감률(%) |
-5.7 |
79.1 |
-2.8 |
46.1 |
4.7 |
-10.4 |
자료원 : KITA.NET(한국무역협회)
○ 현지 진출 한국 지상사의 전망
○ 대방글라데시 수출유망품목
품 목 |
시장현황 |
합성수지 |
- 기초산업 미발달로 화학제품의 대부분 수입에 의존 - 현지 플라스틱제품 생산 확대로 원료 수입 동반 증가 - 한국산은 품질과 가격이 우수 |
철강제품 |
- 열연제품 등에 대한 수요 지속 증가세 - 현지 건설, 조선 등 수요처의 비즈니스 활발 |
인조섬유(폴리에스테르 스테이플 파이버 등) |
- 한국산의 가격과 품질 경쟁력이 우수하며, 현지 대형 제직공장 수요 상존 |
섬유직물 |
- EU의 원산지규정 완화(2011년 1월부)로 수입산 직물에 수요 증가 - 중국의 인건비 급등으로 방글라데시로 의류 오더가 몰려 현지 의류공장의 |
선박 엔진 및 부품 |
- 현지에서 조선은 정부의 중점 육성산업 중 하나 - 2만5000톤 급 이하 소형선박을 대상으로 해외 수주 중 - 강이 많은 지리여건 상 선박에 대한 국내수요도 풍부 |
각종 종이제품 |
- 신문용지의 경우 현지 제품의 품질이 아직 낮은 수준 - 의류 등 수출제품용 포장용지(골판지 원지) 수요 지대 |
특수차량(견인차, 시위진압차 등) |
- 정부기관(경찰 등)에서 입찰을 통해 다양한 특수차 구매 - 한국 제품에 대한 평가가 양호 |
제약기계 |
- 의약산업은 의류를 잇는 차세대산업으로 성장 중 - 현재 유럽산 기계를 많이 쓰고 있으나 한국에서도 수입 중 - 한국산은 유럽산 대비 가격경쟁력 보유 |
섬유용 화학제품 (염료 등) |
- 방글라데시는 세계 2위 의류 수출국으로 관련 화학제 수요 상존 - 한국산 제품의 품질 우수 |
자료원 : 다카 무역관
[참고] 한국의 對방글라데시 품목별 수출실적
(단위 : 천 달러, %)
순위 |
품목명 |
2011년 |
2012년 |
|||
금액 |
증감률 |
금액 |
증감률 | |||
1 |
경유 |
190,117 |
-27.3 |
264,179 |
39.0 | |
2 |
강반제품 |
213,233 |
61.5 |
106,544 |
-50.0 | |
3 |
합성수지 |
108,598 |
17.2 |
103,842 |
-4.4 | |
4 |
열연강판 |
98,958 |
-25.5 |
96,290 |
-2.7 | |
5 |
아연괴 및 스크랩 |
91,363 |
97.4 |
62,857 |
-31.2 | |
6 |
시멘트 |
70,579 |
39.5 |
50,130 |
-29.0 | |
7 |
동괴 및 스크랩 |
36,490 |
78.0 |
33,273 |
-8.8 | |
8 |
기타 직물 |
29,228 |
44.9 |
32,226 |
10.3 | |
9 |
인쇄용지 |
35,228 |
-5.2 |
31,838 |
-9.6 | |
10 |
의약품 |
31,892 |
4.0 |
30,615 |
-4.0 | |
11 |
아연도강판 |
15,892 |
-53.6 |
29,816 |
87.6 | |
12 |
신문용지 |
39,696 |
19.3 |
27,572 |
-30.5 | |
13 |
판지 |
27,046 |
7.3 |
25,669 |
-5.1 | |
14 |
섬유기계 |
33,946 |
33.0 |
22,328 |
-34.2 | |
15 |
골판지 원지 |
36,122 |
-4.5 |
20,488 |
-43.3 | |
16 |
기타 석유화학제품 |
17,161 |
15.0 |
19,952 |
16.3 | |
17 |
편직물 |
19,271 |
18.1 |
19,691 |
2.2 | |
18 |
염료 |
16,453 |
-15.0 |
18,837 |
14.5 | |
19 |
폴리에스터 직물 |
14,588 |
19.3 |
18,132 |
24.3 | |
20 |
알루미늄조가공품 |
15,290 |
9.7 |
16,445 |
7.6 | |
21 |
가열난방기 |
5,250 |
-26.7 |
15,140 |
188.4 | |
22 |
폴리에스텔 섬유 |
12,160 |
44.7 |
12,350 |
1.6 | |
23 |
운반하역기계 |
15,995 |
-0.6 |
12,000 |
-25.0 | |
24 |
기타 생활용품 |
15,062 |
-0.6 |
11,353 |
-24.6 | |
25 |
연괴 및 스크랩 |
9,961 |
219.1 |
10,981 |
10.2 | |
26 |
기타 섬유제품 |
13,509 |
14.9 |
10,926 |
-19.1 | |
27 |
선박 |
1,707 |
-40.6 |
10,402 |
509.4 | |
28 |
철구조물 |
7,037 |
166.8 |
10,114 |
43.7 | |
29 |
혼방면직물 |
11,533 |
86.2 |
10,066 |
-12.7 | |
30 |
나일론직물 |
7,771 |
-2.0 |
9,947 |
28.0 | |
31 |
신발 부분품 |
8,752 |
6.6 |
9,828 |
12.3 | |
32 |
전선 |
6,102 |
4.8 |
9,273 |
52.0 | |
33 |
승용차 |
14,526 |
142.0 |
9,020 |
-37.9 | |
34 |
필름류 |
11,647 |
-14.6 |
8,634 |
-25.9 | |
35 |
기타 가죽 |
8,285 |
6.2 |
8,583 |
3.6 | |
36 |
기타 인조섬유장섬유사 |
9,686 |
-20.8 |
8,432 |
-12.9 | |
37 |
표면활성제 |
8,439 |
18.5 |
7,600 |
-9.9 | |
38 |
기타 정밀화학원료 |
6,778 |
-21.3 |
6,906 |
1.9 | |
39 |
기타 플라스틱제품 |
6,316 |
53.2 |
6,387 |
1.1 | |
40 |
기타 정밀화학제품 |
5,039 |
19.9 |
6,327 |
25.6 | |
41 |
전기강판 |
3,090 |
89.3 |
6,179 |
100.0 | |
42 |
철강재 용기 |
2,754 |
-56.3 |
5,795 |
110.4 | |
43 |
펌프 |
1,004 |
-55.3 |
5,730 |
470.5 | |
44 |
피혁가공기계 |
2,142 |
-24.0 |
5,723 |
167.2 | |
45 |
재봉기 |
6,484 |
-4.5 |
5,325 |
-17.9 | |
46 |
철강관 |
2,444 |
17.2 |
5,189 |
112.3 | |
47 |
건설중장비 |
3,032 |
669.6 |
5,093 |
68.0 | |
48 |
윤활유 |
4,140 |
72.1 |
4,879 |
17.8 | |
49 |
식품포장기계 |
4,739 |
-23.8 |
4,862 |
2.6 | |
50 |
아크릴 방적사 |
5,191 |
113.6 |
4,806 |
-7.4 |
주 : MTI 4단위 기준 50위까지 정리
자료원 : KITA.NET(한국무역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