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나가는 방글라데시 의약품산업
잘 나가는 방글라데시 의약품산업, 우리 기업의 활용방법은
- 연 12%의 고속성장 지속 -
- 기계류, 백신, 제조시설 투자 등 한국 기업 진출 여지 커 -
□ 방글라데시, 최빈개도국 중 유일한 의약품 대량 생산국가
○ 방글라데시의 의약품산업은 80년대 초반 1982년 약품법(Drug Control Ordinance 1982)을 통해 국내에서 생산하거나 생산이 가능한 외국산 의약품의 수입을 통제해 급속히 성장함.
○ 최빈개도국 50개 국이 WTO 지적재산권 협정(TRIPS)의 적용에서 면제되고 2005년부터 외국 기업의 합작투자를 통한 의약품산업 진출이 허용되면서 방글라데시는 후진국 중 유일한 의약품 대량 생산국가로 성장함.
○ 의약품에 대한 TRIPS 면제로 2016년까지 방글라데시는 특허기간이 종료되지 않은 의약품의 복제품(제너릭) 생산과 최빈개도국으로 수출이 허용됨.
□ 연 12%의 고속성장 지속
○ 시장조사기관인 IMS에 따르면 방글라데시의 의약품 시장 규모는 12억 달러이며 최근 5년간 연평균 12%의 성장을 이뤄옴.
○ 등록된 의약품 제조사는 250개이며 이 중 168개가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음
- 주요 제조사: 1) Square 2) Incepta 3) Beximco 4) Acme 5) Eskayef 6) Opsonin 7) Renata 8) Aristopharma 9) Drug International 10) AC - 주요 수출사: Sqaure, Novartis, Opsonin, Acme, Beximco, Aristopharma, Eskayes, ACI, Renata, Orion, Jayson, Incepta pharmaceutical |
○ 의약품(완제품)의 수입의존도는 5%에 불과하지만, 원료의약품(API)는 수입 비중이 80%에 달해 전체 의약품산업 발전의 걸림돌이 되고 있음.
○ 의약품 수출 규모는 연간 5천800만 달러로 최빈개도국이 주요 수출대상국임.
□ 단순 복제약품 생산에서 백신생산, 해외인증 취득 등 고도화 진행
○ Incepta Pharmaceutical, Eskayef Pharmaceutical 등은 백신 생산을 위한 투자를 시작함.
○ 일부 기업은 고급 장비를 갖추고 수준 높은 공정을 도입해 영국, EU, 호주, GCC 지역 수출에 필요한 인증을 획득함.
□ 원료 의약품산업 단지 조성 추진
○ 방글라데시 정부는 2008년부터 원료의약품 산업단지(API Park) 조성을 추진함.
○ 현재 이 프로젝트는 계속 지연되나 업계는 API Park 조성 시 3억 달러에 이르는 투자를 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알려짐.
○ API Park 조성을 담당하는 소기업공사는 제약협회와 함께 중앙배수처리 플랜트(central effluent treatment plant) 설치를 위해 8억 타카(약 1100만 달러)를 출연한다는 내용의 MOU를 9월 중 체결할 것으로 알려짐.
○ API Park는 각각 1.3~3.27에이커 면적의 42개 부지(plot)로 구성할 예정임.
□ 우리 기업 진출유망 분야
○ 백신 수출
- 한국은 방글라데시의 주요 백신 수입국으로 현지 생산이 아직 초보단계에 머물러 있어 당분간 진출 확대 여지가 큰 것으로 판단됨.
- 기존에 유사 제품이 등록됐을 경우 신규 등록에 소요되는 기간은 3개월 정도임.
한국의 대방글라데시 의약품 수출
(단위: 천 달러, %)
HS |
품목명 |
2011 |
2012 | <!--[if !supportMisalignedRows]-->
<!--[endif]--> | ||
금액 |
증가율 |
금액 |
증가율 | |||
3002 |
사람의 피 치료용, 예방용, 진단용으로 조제한 동물의 피, 면역혈청 그밖의 혈액분획물과 면역물품(생물공학적 방법에 따라 변성되거나 얻어진것 인지에상관없음) 백신, 독소, 미생물배양체(효모는 제외)와 유사한 물품 |
27,134 |
3.4 |
25,473 |
-6.1 | |
3003 |
의약품(두가지 이상의 성분을 혼합한 치료용이나 예방용으로 제3002호, 제3005호. 제3006호의 물품, 일정한 투여량으로 한 것, 소매용 모양이나 포장으로 한 것은 제외) |
461 |
1607 |
559 |
21.2 | |
3004 |
의약품(혼합한 것인지에 상관없으며 치료용이나 예방용으로 일정한 투여량으로 한 것, 피부 투여 형식을 취한것을 포함)과 소매용 모양이나 포장으로 한 것으로 한정. (제3002호, 제3005호, 제3006호의 물품은 제외한다) |
1,773 |
16.2 |
1,681 |
-5.2 | |
|
계 |
29368 |
|
27713 |
|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 의약품 제조 기계 수출
○ 포장용 자재 수출
- 블리스터 포장, 캡슐, 알루미늄 호일 등 포장용 자재는 대부분 중국과 한국에서 수입되며 특히, 알루미늄 호일은 한국의 점유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짐.
○ API 파크에 대한 투자 진출
○ 시험 시설(Reference laboratory)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