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글라데시 시장, 한국산 의약품 기다린다
방글라데시 시장, 한국산 의약품 기다린다
- 백신, 항암치료제 등 유망
- 선진국 등록 여부가 진출 최대 관건
□ 숨겨진 의약품 제조강국 방글라데시
○ 방글라데시는 최빈개발국(LDC)국가 중 의약품 제조업이 가장 발달한 나라로 일반 의약품 자급률이 95%에 달함
- 라이선스 약품 생산 외 WTO 의약품 지재권 규정의 면제를 받고 있어 복제약의 국내 생산 및 공급은 물론, 대LDC 국가 수출도 가능
- 연간 의약품(HS 3003 및 3004) 수출규모는 2700만 달러에 달함.
방글라데시의 주요 의약품 수출대상국(FY 2012/13)
(단위 : 천 달러)
| 의약품(not in dosage) | 의약품(in dosage) | ||||
| 순위 | 총계 | 10,893 | 순위 | 총계 | 15,888 | 
| 1 | 베트남 | 1,434 | 1 | 미얀마 | 47,500 | 
| 2 | 아프가니스탄 | 1,177 | 2 | 스리랑카 | 8,770 | 
| 3 | 파나마 | 884 | 3 | 필리핀 | 5,772 | 
| 4 | 필리핀 | 729 | 4 | 베트남 | 3,103 | 
| 5 | 미얀마 | 672 | 5 | 슬로베니아 | 2,669 | 
| 6 | 베네수엘라 | 592 | 6 | 남아공 | 2,330 | 
| 7 | 에콰도르 | 587 | 7 | 아프가니스탄 | 2,021 | 
| 8 | 스리랑카 | 509 | 8 | 케나 | 1,945 | 
| 9 | 케냐 | 452 | 9 | 영국 | 1,857 | 
| 10 | 캄보디아 | 388 | 10 | 소말리아 | 1,841 | 
| 
 | 기타 | 3,469 | 
 | 기타 | 1,305 | 
자료원: 방글라데시 수출진흥청(EPB)
○ 반면, 백신, 혈청 등은 거의 전량을 수입에 의존해 인체용 백신의 대한 수입 규모만 연간 3300만 달러에 달함.
| 품목 | 2012 | 2013 | |||||
| 금액 | 증가율 | 금액 | 증가율 | ||||
| HS3002 | 혈청, 백신 등 | 25,473 | -6.1 | 33,507 | 31.5 | ||
| 
 
 
 
 | HS300210 | 혈청등 | 97 | -76.5 | 112 | 15.5 | |
| HS300220 | 백신(인체의약용) | 25,070 | -4.6 | 32,888 | 31.2 | ||
| HS300230 | 백신(동물의약용) | 294 | -34.4 | 463 | 57.7 | ||
| HS300290 | 기타 | 13 | 233.1 | 43 | 239.6 | ||
| HS3003 | 의약품(소매용모양이나 포장으로한 것 제외) | 559 | 21.2 | 470 | -15.8 | ||
| HS3004 | 의약품(소매용모양이나 포장으로 한 것) | 1,681 | -5.2 | 2,403 | 42.9 | ||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 방글라데시 의약품시장 진출방안
○ 현지 NGO, 정부 등의 백신, 혈청류 조달 수요가 높으나 국내 기업의 진출은 미미하며, 주로 다국적 의약품 기업의 현지 지사가 입찰에 참가해 공급하고 있음.
○ 무역관에서 현지 유력 바이어를 접촉한 결과, 적절한 요건을 갖춘 한국산 제품이 진출한다면 시장성은 매우 밝은 것으로 파악됨.
○ 진출요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의약품 인증으로 선진 7개국에 등록(승인)되지 않은 의약품은 실질적으로 수입이 불가능함.
○ 위의 요건을 갖춘 기업과 제품이 무역관과 협력, NGO 조달시장을 우선 두드릴 경우 성과를 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