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글라데시, 철길·물길로 물류 숨통 튼다
방글라데시, 철길·물길로 물류 숨통 튼다
- 도로 수송력 확대 한계에 봉착, 철도․내륙수로 활용 극대화 노력 -
- 건설 프로젝트 및 차량·준설선 조달 등 진출 기회 다대 -
□ 수송 인프라 부족이 국가경쟁력 저해
○ 도로, 철도, 항만, 공항 등 수송 인프라의 부족과 비효율성은 방글라데시의 경제성장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이자 외국인 투자 매력도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지목돼 왔음.
○ World Economic Forum이 발표한 글로벌경쟁력 보고서(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15/16에 따르면, 방글라데시는 조사대상 140개국 중 107위에 머물렀으며, 수송 인프라를 포함한 인프라 경쟁력은 123위로 최하위권을 기록했음.
- .
방글라데시 부문별 인프라 경쟁력
구분 |
순위(140개 국가 중) |
수송 인프라 |
110 |
전반적 인프라 수준 |
124 |
도로 수준 |
113 |
철도 수준 |
75 |
항만 수준 |
93 |
항공 인프라 수준 |
121 |
전기 및 통신 인프라 |
122 |
전기 공급 수준 |
120 |
휴대폰 보급률 |
119 |
유선전화 보급률 |
128 |
자료원: World Economic Forum
□ 도로망 확장 벽에 부딪혀
○ 방글라데시 재무부가 발간한 ‘Bangladesh Economic Review 2014’에 따르면 도로는 전체 승객 물류의 88% 이상, 화물 물류의 80% 이상을 담당하고 있음.
- .
극심한 정체를 보이는 다카-치타공 고속도로(Dhaka-Chittagong Highway)
자료원: Dhaka Tribune
○ 6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기간(2011~2015년) 동안 방글라데시 정부는 도로망 확장에 노력을 기울였으나 적절한 재원 확보 실패, 계획된 공사의 지연 등으로 목표에 현저히 못 미치는 실적을 거두는데 그쳤음.
-
-
-
□ 철도․내륙수로 확대 및 운송 능력 확대에 고심
○ 방글라데시 정부의 재정 부족과 장기적인 개발계획의 부재로 방글라데시 철도 부문은 1972년 파키스탄으로부터의 독립 이후 성장이 정체돼 있음.
- .
방글라데시 철도 승객 및 화물운송 현황
(단위: 천㎞, 천 톤, 천 명)
회계연도 |
철도 연장 (㎞) |
화물운송 |
승객운송 |
|||
운송량 |
Ton-㎞ |
승객 수 |
passenger-㎞ | |||
2009/10 |
2,835 |
2,714 |
770,064 |
65,627 |
7,305,000 | |
2010/11 |
2,791 |
2,558 |
692,640 |
63,536 |
8,051,920 | |
2011/12 |
2,877 |
2,192 |
582,107 |
66,139 |
8,787,234 | |
2012/13 |
2,877 |
2,304 |
611,489 |
65,022 |
8,638,829 |
자료원: 방글라데시 7차 경제개발5개년 계획(2015.10.)
○ 또한, 약 800개의 하천이 국토 전체 면적의 7.5% 정도를 차지하고 있어 내륙수운의 잠재력이 크나 잦은 홍수, 개발 부진 등으로 활용도가 낮음.
○ 한편, 고질적인 정부재정 부족으로 대형 프로젝트는 국제 원조에 의존할 수밖에 없음. 세계은행, 아시아개발은행 등 다자원조기구는 저탄소배출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 비중을 높여가는 추세이므로 도로보다는 철도 및 내륙수운 프로젝트에 대한 원조를 받기가 더 용이함.
○ 따라서 방글라데시 제7차 5개년경제개발계획(2016~2020년)은 수송인프라 경쟁력 제고를 위해 철도 및 내륙수운 관련 개발이 강화돼야 함을 강조하고 있음.
낙후된 철도 및 차량 모습
자료원: 현지 한국기업 제공
□ 철도 인프라 개발 계획과 우리 기업의 진출 기회
○ 제7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상 철도 인프라 개발 주요 목표는 아래와 같음.
-
-
-
○ 방글라데시 정부가 가장 우선순위를 두고, 비교적 단기간 내에 실현 가능성이 있는 철도 확대 프로젝트는 아래와 같음.
(단위: ㎞, 백만 달러)
프로젝트명 |
연장 |
예산 |
비고 |
Akhaura-Laksam (다카-치타공 구간 중 일부) 복선화 및 신설 |
72 |
680 |
ADB + EIB 원조로 시행 한국 컨소시엄, 시공감리 컨설팅 수주(2015.10) |
Dohazari-Cox's Bazar |
128 |
300 |
계획 |
Padma Bridge Rail Link (Dhaka-Bhanga 구간) |
85 |
722 |
계획 |
Padma Bridge Rail Link (Bhanga-Jessore 구간) |
75 |
400 |
계획 |
Khulna-Mongla Port |
53 |
250 |
계획 |
Jamuna江 철교 |
|
250 |
|
○ 한편, 올해 상반기 중 기관차, 객차 등의 조달입찰이 예상되고 있어 우리 기업의 관심이 필요함.
- .
- .
방글라데시 철도청 철도운송력 확장 프로젝트 개요
ㅇ 발주처: Bangladesh Railway ㅇ 총사업예산: 2억8500만 달러 ㅇ 재원: ADB 2억2000만 달러, 방글라데시 정부 6500만 달러 ㅇ 패키지 구성 및 패키지별 예산 (단위: 개, 백만 달러)
ㅇ 프로젝트 진행현황: ADB와의 차관협상은 완료됐으며, 사업계획(DPP)에 대한 국가경제위원회(ECNEC)의 승인 대기 중임(상반기 중 입찰절차 개시 예상). |
□ 내륙수로 인프라 개발 계획과 우리 기업의 진출 기회
○ 제7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상 철도 인프라 개발 계획은 아래와 같음.
분야 |
개발 계획 |
신규 수로 개발 및 기존 수로 항행력 개선 |
- 수로 조사(6000㎞) - 준설: 36억㎥ - 준설선 입찰: 30대 - service vessel 입찰 |
내륙항(landing station and river ports) 개발 |
- River Port 신축/보수: 10개/9개 - 컨테이너 터미널 신설: 2개 - 부교(potonn) 조달: 135개 |
○ 2016년 상반기 대규모 준설사업 입찰이 예정돼 있어 우리 기업의 관심이 필요함.
방글라데시 준설 프로젝트 개요
ㅇ 프로젝트명: 다카-치타공 하천준설 및 수운역량 제고 사업 - (기존) Dhaka-Chittagong-Ashuganj Regional Inland Water Maintenance(dredging) - (최근) Bagladesh regional waterway transport project - I ㅇ 발주처: Bangiadesh Inland Water Transport Authority(BIWTA) ㅇ 총사업예산: 3억6000만 달러(수용 비용 등은 제외) ㅇ 재원: Worldbank(IDA) · 차관계약 체결은 2016년 3월 중 예상 ㅇ 프로젝트 구성 및 진행현황 (단위: 백만 달러)
- 진행현황: 2015.12.24 PQ 초청(2016.2.15.까지 제출)
ㅇ EPC 건과 별개로 아래 과업에 대한 컨설팅 입찰이 진행 중임. - 6개 선박피난소(shelter 건설 관련 ① F/S, 상세조사, 설계 ② 시공 감리 - 14개 내륙항(landing stations) 건설 관련 ① F/S, 상세조사, 설계 ② 시공 감리 |
□ 최근 성공사례과 시사점
○ 한국 중소기업 B사는 최근 Bangiadesh Inland Water Transport Authority(BIWTA)가 발주하는 수륙양용 준설선(4대) 입찰에 참가해 수주에 성공했음.
○ 이 회사는 한국 준설선의 직접 수입 형태로는 가격경쟁력 확보가 어렵다고 판단, KOTRA 지원하에 현지 해군소속 조선사와 JV를 맺고 입찰에 참가했음.
- .
○ 이와 같이 방글라데시 조달에 참가함에 있어 현지 업체와의 협업을 통한 제조원가 부담 완화가 점점 중요해지는 상황인 바, 조달시장에 참가하려는 우리 기업은 현지 파트너와의 협업이 가능한지를 반드시 고려해야 함.
자료원: 방글라데시 재무부, 방글라데시 철도청, 방글라데시 내륙수운청 및 KOTRA 다카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