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근 글 조회

(735)
방글라데시의 네팔인 - 방글라데시 미전도종족 기도정보방글라데시의 네팔인(Nepalese) 1950년대에 네팔이 민족국가로 건국될 때 많은 네팔인들이 네팔(Nepal)로부터 도주하였다. 국가의 많은 강요사항들을 피하고 그들의 삶의 수준을 높이고자 그들은 북인도 여러지역 및 이웃 나라 미얀마, 방글라데시, 부탄에 정착하였다. 한때 거대한 인도왕조의 일부였지만 방글라데시는 1947년에 독립국가로 분리(동파키스탄을 의미, 역자주)되었다. 나라는 가난하고 국민들은 단순한 삶을 산다. 과도한 인구는 분명 가장 심각한 문제일 것이다. 이 나라의 공식 언어는 벵골어(Bengali)이지만 네팔인들은 네팔어의 한 형태인 카스(Khas), 쿠라(Kura)를 사용한다. 다른 힌두교인들처럼 네팔인들도 “카스트(caste)" 구조에 속해 있다. 이 카스트에는 단 두 개의 ..
이산한 구자라트 - 방글라데시 미전도 종족 기도정보이산한 구자라트(The Diaspora Gujarati)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말레이시아, 모잠비크, 미얀마, 방글라데시, 우간다, 이란, 잠비아, 케냐, 탄자니아에 거주하는 11개의 이산한 구자라트족의 통합 프로파일 구자라트인은 기본적으로 인도 서부의 구자라트(Gujarat) 주의 주민으로 분류된다. 그들 대부분에게는 구자라트어가 모국어이다. 그들은 다양한 방언을 구사하고 많은 문화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혼합민족 집단이다. 여러 차이들 중 어떤 것은 지역에 바탕을 둔 것이고, 어떤 것은 사회계급인 "카스트(caste)"나 지역 공동체에 바탕하고 있는 것이다. 오늘날 27개국에 구자라트의 주요한 공동체가 있는데, 아프리카에 많이 있고 미얀마와 이란, 말레이시아에도 또한 있다. 이 나라에 있어서의..
방글라데시 미전도 종족 방글라데시 미전도 종족들 구자라트 네팔인 마기 (모그) 마니푸리 므루 버마인 벵갈 비하리 실헤티 벵갈 아랍 아쌈 오리시 타즈푸리 탕창야 트리푸리 티페라 펀잡 하종 (동부 벵갈) 힌두 벵갈 힌디 자료출처 : 베다니 세계기도센터 & 한국 컴퓨터선교회 이 기도정보는 수정, 출판 또는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는 한 자유롭게 복제하거나 배포할 수 있습니다.
생필품을 위한 슈퍼마켓 안내 ◆ 마 켓 ·코마트(KOREAN MART) 위치: H-114,R-12,B-E, Banani, Dhaka 한국산 냉동식품을 포함한 식품류 및 생활 용품을 전문판매 하고 있다. 한국 아이스크림부터 간단한 약까지 구매가 가능하다. 한국에서 발송한 컨테이너가 들어오는 시기를 맞추어 가면 더욱 다양한 상품들의 구매가 가능하다. ·Meena Bazar(미나바잘) 위치: Plot # 76/A, Road-11, Block-M, Banani, Dhaka 비교적 규모가 있는 중형 체인 마켓으로 수입 및 현지 식료품, 생활용품, 화장품 등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판매한다. 정육 코너에서는 종류 및 부위별로 잘 손질된 고기를 팔고 있다. ·디달(DEDAR) 슈퍼마켓 위치: North, D.C.C. Market, Gulshan-..
생필품을 위한 시장보기 시장 보기 다카 내에 한국의 중소규모 마트 정도의 매장 면적과 시스템을 갖춘 중 소형 마켓들이 여러 곳에 있다. 그곳에 가면 비교적 편리하게 한국처럼 식료품 및 잡화 등의 구매가 가능하다. 매장의 크기, 위치 등으로 인한 가격인상 요인이 있어 시장보다 가격이 높다. 그래서 시장에서 물건을 구입할 때에는 마트의 정찰제 판매 가격을 미리 알고 가면 좋다. 그 보다 조금 싸게 사야 적정 가격에 산 것이다. 또한 벵갈어 숫자를 알고 가면 좋다. 대부분의 재래시장 상인들도 영어로 숫자를 말 할 수 있지만 벵갈어로 가격을 제시했을 때 우리가 못 알아 들을 경우 현지 물가를 모른다고 생각하여 터무니 없이 높은 값을 제시해 흥정이 힘들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한 곳만 보고 물건을 구입하는 것보다는 여러 곳을..
방글라데시 매스컴 현황 TV 방송 체널은 국영방송인 Bangladesh TV (일명 BTV) 를 비롯하여 10여개의 위성체널이 있으며 유선방송 회사에 가입하면 Star TV, Star Plus, M TV, Prime Sports, Zee TV(인도방송) 등을 시청할 수 있다. 한국 방송은 KBS World, YTN, Arirang TV 시청이 가능하다. 언론의 자유가 비교적 잘 보장되어 있으며 신문사가 상당히 많다. 언론기관이 60여개에 이르고 일간지는 150종이 넘는다. 주요일간지로는 Dainik Ittefaq, Dainik Inqilab (이상 벵갈어), Bangladesh Observer, Daily Star, Financial Express, The New Nation, The Independent (이상 영어) 등이 ..
방글라데시 통신 시설 생활환경/ 통신 1. 전화 전화(또는 팩스) 라인이 매우 부족하여 신규로 라인을 배정받기가 어려워 종종 뇌물을 요구한다. 공중전화가 일반화되어 있지 않아 시내에서 전화사용이 용이하지 않다. 최근에서 카드식 전화기가 공항, 병원 구내 등에 소수 설치되어 사용중이다. 팩스, TLX 및 전화 등을 서비스를 해주는 비지니스 센터가 시내 곳곳에 있다. 방글라데시의 전화회선이 매우 부족하여 한국에서 낮시간에 전화걸기가 쉽지않다. 따라서 한국에서 30%할인요금이 적용되는 시간대인 오후9시이후나 자정 이후에 사용하면 좋다. 라인 전화 가입의 어려움으로 요즘은 오히려 인터넷 전화(0666) 보급이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휴대전화 역시 보급이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어 2010년 현재 사용자가 6천만을 넘어섰다. 2. ..
방글라데시 언어 (공용어 : 벵골어) 언 어(문자) 공용어인 방글라는 인도.아리안어 족에 속하며, 대부분의 국민(전체의 98%가량)이 사용한다. 벵골어가 공용어이나, 지식인들이나 비지니스 종사자는 대부분 영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방글라데시에는 약 40여개의 부족어들이 있으며, 따라서 지역에 따라 방언이 많다. 또한 세계에 모어로 가장 많은 인구가 사용하는 언어는 순위별로 중국어, 스페인어, 영어, 아랍어, 힌디어에 이어 벵골어가 6번째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언어이다. 매년 2월 21일은 유네스코가 정한 세계 모국어의 날인데 그 유래가 방글라데시 언어의 날에서 왔다. 방글라데시는 동파키스탄 시절 파키스탄이 식민지배를 하면서 방글라데시 언어 말살 정책을 폈는데, 벵골어를 지키려는 다카대학 교수 학생들로부터 시작된 언어 지키기 운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