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근 글 조회

(735)
로힝가(로힝야) 부족에 대한 한국의 관심 로힝가(로힝야) 부족에 대한 한국의 관심 서울에 위치한 아시아인권센터에서는 로힝가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캠페인과 행사를 매년 개최하고 있다. 2010년 8월 4일과 7일에는 인사동에서 길거리 캠페인이 열렸으며, 11월 27일에는 로힝야의 어린이들을 돕기 위한 "공포로부터의 자유"(Freedom from Fear) 라는 이름의 콘서트가 개최 되었다. 이 인권단체는 또한 2011년 1월 26일에 광화문에서 시민들을 대상으로 로힝야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길거리 캠페인을 벌였다. 방글라데시에 머물고 있는 난민 중 일부가 방글라데시에서마저 본국으로 송환될 처지에 놓이자 그 위기를 피해 지난 2003년 11월 방글라데시 여권으로 한국에 왔다. 그들은 인권단체의 도움으로 난민신청을 하였고 오랜 ..
로힝가(로힝야) 부족 인권 침해 상황 로힝가 부족 인권 침해 상황 인권 단체인 앰네스티 인터내셔널에 따르면 무슬림인 로힝야족은 1978년부터 미얀마의 군사정권 하에서 다양한 인권 침해에 노출되어 왔으며, 그 결과 많은 이들이 방글라데시로 피신했다. “로힝야족의 해방운동은 엄격하게 제한되며 그들 중 대부분은 미얀마 시민권을 거부당했다. 또한 그들은 다양한 형태의 강탈과 납세, 토지 횡령, 축출, 재산 파괴 등에 시달린다. 비록 아라칸(라카인) 주 북부의 강제 노동이 지난 10년 동안 감소되긴 했지만, 로힝야족은 아직도 강제 노동에 동원된다.” “1978년, 미얀마 군대의 나가민(용왕) 작전 이후 20만 명이 넘는 로힝야인들이 방글라데시로 도망쳤다. 이 작전은 공식적으로 “모든 거주민들을 면밀히 조사하여 시민들과 외국인들을 법에 따라 지정하고,..
로힝가(로힝야)족은 어떤 사람들인가? 로힝가족(로힝야족) 로힝야족으로 외부 세계에 알려진 로힝가족은 미얀마(버마) 서부 아라칸 주의 북부 지역에 주로 거주하는 소수 민족이다. 이들은 주로 수니파 이슬람교도들로, 대략 70만 명에서 140만 명 정도로 추정되며, 방글라데시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마웅다우, 부티다웅, 아캬브, 라테다웅, 캬우크타우를 중심으로 거주하고 있다. 로힝가족은 자신들이 9세기경 미얀마에 정착한 아랍상인들의 후손이라고 말하고 있으나, 미얀마 군정은 이들이 19세기 중엽 영국에 의해 이곳에 노동자로 끌려온 인도 무슬림의 후예라고 주장한다. 로힝가족은 불교국가인 미얀마에서 이슬람을 믿는다는 이유로 미얀마 130여 개 소수민족 가운데 가장 많은 차별을 받고 있다. 특히 미얀마 군정은 이들에게 아예 시민권조차 부여하지 않는 등 자..
아슐리아 지역 봉재공장 노동자들 이틀째 대규모 시위 아슐리아 지역 봉재공장 노동자들 대규모 폭력 시위 월급인상을 요구하며 어제 화요일 수도 다카의 서북쪽 아슐리아 지역의 20여개의 공장과 200여대의 자동차를 파괴하는 대모가 있었다. 봉제공장 노동자들과 경찰간의 충돌이 있었는데 이로인해 경찰과 민간인 50여명이 부상을 입기도했다. 녿오자들의 대규모 대모에 인근 공장 200여곳이 문을 닫았다. 지난 월요일에도 대모가 있었다. 데모의 시발 : 목격자들에 의하면, 어제 아침에 아슐리아의 모든 공장들은 문을 열었다. 그러나 지난 월요일 데모로 인해 방글라바잘 지역에 있는 하밈 구룹의 ‘알띠스띡 디자인’ 공장은 닫혀 있었다. 아침 8시에 노동자들은 공장 닫혀 있는 것을 보고 데모를 시작했다. 그들은 몽둥이와 벽돌 등의로 파괴를 하기 시작 하였으며 경찰이 충동하여 ..
미얀마에서 학대받는 로힝가 무슬림, 방글라데시로 도망오려다 쫓겨나 방글라데시 접경 지역인 미얀마 라카인 주에서 지난달 로힝가 무슬림이 불교도 여성을 강간·살해사건이 발단 폭력사태로 발전 방글라데시 정부는 이웃 미얀마에서 불교도 주민과의 폭력 마찰을 피해 11개의 보트로 도망온 약 500명의 로힝가 부족 무슬림들을 되돌려 보냈다고 했다. 국경 수비대는 중앙 정부로부터 미얀마 피난민이 한 명도 입국하지 못하도록 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콕스 바자르 지역의 관리가 말했다. 지난 사흘 간 최소한 500명이 11개의 나무 배를 타고 방글라데시에 입국하려고 시도했다고 그는 덧붙였다. 불교도와 소수계인 무슬림 주민 간의 폭동으로 지난 8일 이후 미얀마 라키네 주에서 최소한 12명이 죽었다. 유엔의 난민 기관은 라키네 주의 산악 지대에서 80만명의 롱힝야 사람들이 살고 있는 것으로 추..
방글라데시 간략한 문화 요약 방글라데시 간략한 문화 요약 (단기 방문자를 위한 필독 자료) ※ 문화편 식습관과 손 사용 1. 방글라데시는 전통적으로 수저를 사용하지 않고 맨손으로 식사를 하는데 오른손만 사용하여 식사를 한다. 만일 현지인의 집에 초대를 받았다면 그들과 함께 손으로 식사를 하는 것이 그들을 존중해 주는 것이다. 그러나 많은 경우 외국인을 초대 할 경우 숫가락과 포크를 준비해 둔다. 그렇지만 서툴더라도 손으로 먹는 것을 시도해 본다면 급 친해질 것이다. 2. 따라서 방글라데시 문화는 식사전 손을 씻는 것이 관례이고, 현지인과 식사시 가급적 왼손은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왼손은 불결한 것으로 받아 들여진다. 하지만, 왼손으로 물컵을 잡는 것 정도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3. 왼손을 불결하게 생각하는 것은 화장실에서 뒷 처..
방글라데시 다카 숙박, 민박, 게스트하우스 안내 - 한국인 운영 ■ 숙박시설 1. 한국인 운영 게스트 하우스(다카) 리스트 (업소 관계자분께서 업소소개, 가감 할 내용이나 이미지 등을 보내 주시면 즉시 올려 드리겠습니다. bdkc2004@gmail.com ) 2. 치타공 한국인 운영 게스트 하우스 2013년 6월 23일 수정
방글라데시 게스트하우스 호텔 안내 - 현지인 운영 ■ 숙박 시설 1. 현지인 운영 게스트 하우스 1) Civic Inn 위치: H-4/B, R-67, Gulshan-2, Dhaka 연락처: 8817461, info@civicinn.com 2) De Castle Limited 위치: H-B-72, R-21, Banani, Dhaka 연락처: 8812888, 8812067, hdcl@bdcom.com 3) Eastern Residence 위치: H-14, R-27, B-J, Banani, Dhaka 연락처: 9890337-8, 9880301 4) Northern Residence 위치: H-12, R-7, Sector-11, Uttara, Dhaka 연락처: 8952873, 8961874, hoteler@citech-bd.com 5) Radial Palac..